2013년 3월 27일 수요일

버클리 주교와 정신적인 나무



 어떤 젊은이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신은 무척 신기하게 여기리라. 뜰 안에 아무도 없을 때, 거기 전과 다름없이 나무가 그냥 서 있는 것을 보고." 버클리가 대답하기를 "친애하는 선생이여. 당신이 놀라는 것이 이상하구려. 나는 언제나 이 뜰 안에 있어요. 그리고 이 나무는 계속해서 존재하겠지. 당신의 충성스러운 신이 언제나 이 나무를 보고 있으므로." - 버트런드 러셀, '서양철학사'

 철저한 관념론자는 우리가 느끼고 보는 모든 것들이 단지 우리의 정신 안에서만 존재한다고 한다. 저기 어느 언덕 위에 나무가 한 그루 있다고 하자. 우리는 이 나무를 바라볼 수 있고, 그 때 나무는 존재한다. 하지만 우리가 이 나무를 바라보지 않는다면 나무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반대하는 이들은 몇 가지 재미있는 예를 드는데, 가령 그들에 의하면 관념론자는 정거장에 있을 때엔 기차의 바퀴를 볼 수 있지만, 기차 속에 들어가 앉은 다음엔 기차의 바퀴를 볼 수가 없다. 물론 우리의 상식은 승객들이 바퀴를 볼 때에 기차가 갑자기 나타나고, 보고 있지 않으면 갑자기 없어진다는 것을 인정치 않는다.

 버클리 주교는 관념론자이지만, 우리가 보지 않을 때에도 사물은 존재하고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럴 수 있는 근거는 어디까지나 신이 모든 것을 지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이 존재하기에 사물은 존재한다. 그는 신을 바탕으로 물질의 존재를 부정하는 자신의 견해를 상식과 조화시키려 한다.

 이러한 그의 주장을 담은 저서가 '힐라스와 필로누스의 대화'이다. 여기서 힐라스는 상식을 대표하고, 필로누스는 버클리 자신이다. 저서에서 힐라스와 필로누스는 오감(五感)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데, 그 과정에서 필로누스가 예시와 논증을 두루 사용하여 끝내 물질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고 있다.
 힐라스와 필로누스는 감각 그 자체에 대해 의견이 일치된다. 우리가 느끼는 감각을 부정하면 확신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아무 것도 남지 않는 법이다. 하지만 감각은 그 너머에 있는 실재 그 자체는 아니다. 내가 사과를 바라보고, 냄새를 맡고, 맛을 볼 수 있지만 그렇게 포착된 감각의 연합이 그 너머의 존재를 암시할 뿐, 사실상 우리가 느끼는 모든 것들은 정신 안에 있다. 필로누스는 말한다. "무엇이든지 직접 지각되는 것은 하나의 관념이다. 그런데 관념이 정신을 떠나서 존재할 수 있는가?" 그는 주장한다. "감각의 어떤 직접적인 대상이 비사고적인 실체 속에 있어야 한다는 것은, 다시 말해서 정신 밖에 있어야 한다는 것은 모순이다."

 우리가 사물을 지각할 때, 사실은 사물 그 자체를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감각만을 지각한다는 주장은 참이다. 하지만 버클리는 더 나아가 증명할 수 없는 것을 이미 증명한 것으로 간주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버클리의 주장은 '관념들은 정신 속에 있다.'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장은 근본적으로 단지 항진명제(恒眞命題)만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가령 "모든 총각은 결혼하지 않은 남자이다."라는 명제를 보면, 이는 어느 면에서 보아도 참이지만 그 안에는 어떠한 새로운 사실도 담겨있지 않다. 동어반복과 같은 것이다. 그럼에도 버클리가 물질의 존재를 부정하는데 성공했다고 착각한 것은, '관념'이란 낱말에 대한 그의 실수 탓이다.
 버클리는 '감각하는 작용'과 '감각의 재료'를 구분하지 않는 오류를  범했다. 둘 모두를 '관념'으로 보았기에, 관념을 벗어난 사물의 존재를 부정한 것이다. 하지만 사실상 둘은 다르다. 감각하는 작용은 관념이라고 볼 수 있으나, 감각의 재료는 관념 밖에 있을 수 있는 것이다. 가령 우리는 사과를 보고 붉은 빛깔을 느낄 수 있는데, 붉은 빛깔에 대한 감각이 우리의 마음 속에 일어났다고 해서 그 붉은 빛깔을 일으키는 재료가 우리 마음 속에 있다고 할 수는 없다. 그 재료는 분명히 우리 마음의 밖에서 일어날 수 있다.
 "우리가 인식하지 못한 어떤 사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결코 인식할수 없다."라는 명제를 보자. 이 명제도 흔히 생각해볼 수 있는 것으로, 우리의 판단을 혼란에 빠뜨리곤 한다. 이 명제는 어딘가 이상하다는 생각은 들지만, 반박하기 쉽지 않다. 이 명제를 엄밀히 분석하면, 여기서 첫 번째 사용된 '인식'이란 낱말이 두 번째 사용된 '인식'이란 낱말과 다른 의미로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이 명제를 해결하는 핵심이 된다. 첫 번째 '인식'은 지각을 의미하고, 두 번째 '인식'은 판단을 의미하는 것이다. 두 동음이의어를 인식하면 이 명제가 거짓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버클리가 '관념'이란 낱말을 사용할 때 '감각하는 작용'과 '감각의 재료'를 구분하지 않았던 것과 같은 오류이다.

 오늘 3월 27일은 나의 생일이다. 해를 거듭할수록 시간이 점점 빨라져 가는데, 나의 '감각하는 작용'이 점점 빨라지는 탓인지, '감각의 재료'가 변하기 때문인지 잘 모르겠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