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23일 화요일

착함이냐 운이냐



(스포일러 있습니다)
 영화 매치 포인트(match point)는 2005년도 작품이지만 Woody Allen에게 꽂혀있는 요즘에야 비로소 보게 되었다. 무엇보다 도입부가 인상깊었는데, 테니스의 매치 포인트 장면을 보여주면서 영화가 시작된다. 화자인 주인공은 말한다.

 "누군가 착함(good)보다는 운(lucky)이라 말한다면 인생을 깊이 통찰한 사람이다. 사람들은 인생의 대부분이 운에 좌우된다는 사실을 직면하길 두려워한다. 그런 생각에 골몰하면 미쳐버릴 지경이 된다. 시합에서 공이 네트를 건드리는 찰나 공은 넘어갈 수도 그냥 떨어질 수도 있다. 운만 좋으면 공은 넘어가고 당신이 이긴다. 그렇지 않으면 패배한다."

 주인공 크리스는 위 사실을 깨달은 사람이다. 그는 테니스를 했지만 실패의 위험이 큰 선수의 길을 택하지 않는다. 대신 테니스 강사가 되어 부유층 자제 톰을 가르치게 되고, 그와 매우 친한 사이가 된다. 톰의 여동생 클로에를 만나고, 동시에 톰의 약혼자 노라를 본 크리스는 강렬한 두 욕망을 마주한다. 클로에를 통해 보이는 신분상승에의 길, 그리고 노라에게 느끼는 강렬한 사랑이 그것이다. 그리고 물론, 크리스는 클로에를 택하고 둘은 결혼에 이른다.

 Woody Allen은 그의 작품들을 통해 세상의 부조리에 상처받는 개인을 말한다. 세상의 벽은 너무 높고 단단해, 개인은 소외된다. 크리스는 날 때부터 신분이 정해지는 사회구조를 깨달았다. 착함(good)이 운(lucky)을 갈음하지 못하는 세상은 답답하고, 불공평한 것이다. 바라는 만큼의 운을 타고나지 못한 크리스가 선수의 길보다 테니스 강사를 택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리고 노라보다 클로에를 택하는 것도 그러하다. 강렬한 사랑은 유혹적이지만, 사랑이 무언가를 보장해주던가? 사랑은 강렬한 만큼 위태롭다.

 클로에와 결혼한 이후, 성공가도를 달리던 크리스는 톰과 헤어진 노라를 다시 만나고, 또다시 강렬한 감정을 느낀다. 그리고 노라와 불륜을 시작하면서 크리스의 삶을 아슬아슬한 줄다리기를 시작한다. 노라와의 불륜은 달콤했지만 관계가 깊어질수록 크리스의 삶은 위험해지고, 노라가 임신을 하면서 그는 결국 선택을 해야만 했다. 물론 그는 착함보다는 운에 자기의 삶을 맡긴다.

 클로에를 선택한 뒤 노라를 향한 욕망을 깨끗히 포기했다면 크리스의 삶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거다. 하지만 그는 자기의 욕망을 포기하지 못한다. 법, 도덕, 결혼의 책임감과 같은 사회적 울타리가 그의 욕망을 제어하는데 실패하는 이유는, 그가 애초에 사회를 믿지 않기 때문이다. 착함과 악함이라는 도덕률을 지시하는 것도 사회인데, 그것이 날 때부터 나에게 불공정하다면 내가 그에 헌신할 이유가 있겠나. 결국 홀로 고립된 크리스는 그래서 그리도 이기적이고 잔인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내가 동기들에게 자주하는 이야기가 있다. 언뜻 의사들은 돈도 잘 벌고, 물질적인 욕망에서 자유로울 것 같지만, 사실은 보통 사람들보다도 더 세속적인 욕망에 사로잡히기 쉽다. 왜냐하면 그들 대부분은 막상 젊은 날엔 부도 권력도 없지만, 가까운 곳에서 부와 권력을 목격하고, 맛보게 되기 때문이다. 사람이란 멀리 떨어진 막연한 것보다, 가까이서 목격한 구체적인 대상을 욕망하는 법이다. 그리고 그 부와 권력은 불합리하게 분배되는 듯 보인다.
 때문에 나는 주인공 크리스의 생각에 깊이 공감한다. 어쩌면 주인공 크리스도 테니스 강사를 하면서 숱하게 부와 권력을 지닌 이들을 목격했을 거다. 부조리를 느꼈을 것이고, 저들을 욕망했겠지.
  실제로 나는 크리스처럼 사는 이들을 꽤나 목격했다. 욕망을 일부 포기하면서 결혼을 했다는 점에서 현실적이고, 배가 부른 뒤 예술을 찾듯, 나중에야 불륜을 저지른다는 점에서 욕심이 많다. 크리스의 이기심은 도를 넘었다. 그의 소외된 자아는 자기의 작은 욕망에 머물러 세상을 향해 뻗어나가지 못했다. 오죽하면 사랑하는 노라와 자기의 아이, 죄없는 목격자마저도 자기 안위를 위해 무참히 살해할 수 있겠는가. 내가 착함보다 운을 앞세우면 이를 비난할 수 있겠나? 선하게 사는 것은 여전히 나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영화를 보고, 깊이 공감하면서, 나의 사회관계가 나에게 가지는 의미를 떠올린다. 너무나 크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