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24일 일요일

근황과 잡담


1. 11월은 꽤 다사다난했다. 결정적으로 치과개업을 하기에 좋은 자리를 발견하여, 임대계약을 할 뻔했는데, 아버님도 모셔온 자리에서 계약을 취소했다. 부동산 업자가 일방적으로 건물주에게 유리한 조건을 요구하고, 계속해서 탁자를 손으로 친다거나 윽박지르는 등 비정상적인 영업태도를 보이더라. 아무래도 이상해서 계약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는데, 그제야 사실 그 건물의 소유주가 자신들이라고 실토했다.
 삼십대 중반의 동기들도 임대계약 때는 관련업계 지인이나 부모님과 동행한다더니, 강호의 험난함을 몸소 실감한 일이었다.

 나뿐만 아니라, 공중보건의로 말년을 보내고 있는 지인들 모두 미래를 계획하느라 분주한 거 같더라. 선배들이 입을 모아서 공중보건의 시절만큼 좋은 시절이 없다고들 하던데, 나도 좋은 시절이 얼마 남지 않았구나 싶다.


2. 대전에서 공부하다가 서울에 올라온 첫 해에 많이 느끼긴 했는데, 전라도와 경상도뿐만 아니라 서울 내에서도 지역을 놓고 이래저래 편을 가르고 계급을 만들려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더라. 초등학교 때 일산에서 목동으로 전학을 왔는데 목동 출신이 아니라며 하대하는 친구들이 많았다거나 하는 이야기를 듣노라면, 내가 다른 세상에서 살다왔나 싶기도 하다. 출신 고등학교를 따지는 사람들도 되게 많다는데, 대체 그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나는 노원구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나왔는데, 내가 눈치가 유난히 없었는지 몰라도 나는 지역이나 돈, 집안으로 편가르기를 하거나, 당한 기억이 없다. 내가 중산층이 대다수인 평범한 지역 출신이라 그런걸까?
 자연히 나중에 아이를 낳으면 어느 지역에서 키워야하나 고민하게 된다. 참 별 웃기지도 않은 걸로 내 미래를 고민하게 되는구먼.


3. 이코노미스트 홍춘욱 님은 ‘김광진의 경제포커스’에 패널로 참석했던 이들 가운데 내가 좋아했던 분이다. 날카로운 분석력과 나긋나긋한 어투가 인상이 깊어서 이름을 기억한 몇 안되는 이들 가운데 한 분인데, 이분이 운영하는 블로그가 있더라. 더군다나 공짜로 읽기가 죄송스러울 만큼 아주 양질의 글들이 가득하다. 링크한다.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좋은 의견과 정보를 제공해주신다. 부동산, 환경, 인구변화, 그 외 여러 경제현황에 대한 글들이 있고, 논문, 도서에 대한 리뷰도 많다.
 아무래도 부동산과 같이 나랑 밀접한 주제의 글들을 먼저 유심히 읽게 되었는데, 부동산 시장이 폭락할 가능성이 아주 낮다는 분석을 하셨다. 두 가지 원인이 있는데,
 1) 우선은 우리나라는 부동산 대출이 변동금리 위주이므로 경기가 어려울 때 이자부담이 급격히 줄어든다는 점을 든다.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에 우리와 비슷한 변동금리 모기지로 대출을 받은 영국과 호주는 금리인하 덕택에 주택시장이 폭락하지 않았고, 영국은 작년에 완만한 반등, 호주는 올해 사상 최고가를 갱신하는 등의 강세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현재 고점에서 일정 정도 하락한 후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같은 이유로 해석할 수 있다.
 2) 둘째로 소득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을 살폈을 때, 한국의 서울은 9.4, 전국은 4.8로 높은 편이다. 허나 이는 주택가격의 수요 요소(소득)만을 고려한 것이다. 공급 요소, 즉 국토면적이 적어서 토지 공급가격이 비싼 특성을 고려하면 유사한 영국, 홍콩, 싱가포르 등과 비교했을 때 결코 높다고 볼 수 없다.
 이전과 다른 아주 흥미로운 분석이다. 허나 1)의 경우, 우리나라의 채권 금리가 미국의 금리 변동에 대단히 민감하기 때문에 내년부터 예상대로 미국이 금리인상을 하면 부동산 대출의 이자부담이 급격히 증가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이 점이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인 요소로 생각된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