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5월 10일 목요일

자유의지와 두 개의 시계




1. 자유의지라는 개념이 언제부터 등장했는지는 가물하지만 이는 기독교에서 특히 중요한 개념이다. 아마 자유의지가 없었다면 인간은 에덴의 동산에서 선악과를 따먹지도 못했을거다. 기독교에서 우주는 인간과 환경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간은 조물주에 의해 특별히 자유의지를 부여받은 신성한 존재이다. 그리고 다른 만물은 인간과 달리 창조되었다. 다른 동물은 마치 생동(生動)하는 기계와 같은 것이다.

 중세기를 거치며 발달한 자연과학은 자유의지(영혼)의 개념과 충돌했다. 과학적인 관찰은 인간도 다른 만물처럼 물리법칙에 따른다고 말하고 있는데, 자유의지가 대체 어디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겠는가? 중세기 이후의 자연과학자들에게 이는 어려운 숙제였다. 인간에게 영혼이 존재함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영혼이 대체 어떻게 인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 수 없었다.
 가령, 데카르트는 영혼이 뇌에 있는 송과선(pineal gland, 松果腺)에 머무르며 이를 통해서 육신과 교류한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이치에 맞지 않는 것이다. 사과를 들어올린다고 가정해보자. 사과와 같은 형이하학(形而下學)적인 존재는 물리법칙에 따라 움직이는데, 인간의 영혼은 이 물리작용에 개입될 수가 없다. 그렇다면 영혼이 존재할 필요가 있을까? 우리 인간도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기계에 불과한게 아닐까?

 여기서 절망한 기독철학자들을 구원한 개념이 '두 개의 시계'이다. 신체와 영혼은 각기 다른 두 개의 시계와 같고, 두 시계가 똑같은 시간을 가리키듯 둘은 정확히 동일하게 작동한다. 나의 영혼이 사과를 들고자 할 때, 신체는 자연과학의 법칙에 따라 사과를 든다. 영혼이 신체에 영향을 미친 것은 절대 아니다! 다만 두 시계의 시간이 일치하듯이, 둘이 우연히도 일치할 따름이다. 이 개념은 자유의지가 과학법칙과 공존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어떠한 모순도 찾을 수 없다. 과학법칙은 여전히 인간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지만, 자유의지도 여전히 살아있을 수 있다.
 하지만 정말이지 이상한 이론이다. 시계처럼 자연법칙과 동일하게 작동할 따름이라면 자유의지가 있어서 무얼한단 말인가? 아니 이게 어디가 자유(free)란 말인가?

2. '두 개의 시계'는 자가당착(自家撞着)에 빠졌다. 신에게 축복받은 자유로운 인간을 그리던 낭만의 시대는 저물었다. 생물학과 신경뇌과학 등이 발달하면서 뇌가 우리의 신체를 조종한다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그리고 뇌는 물리학, 화학의 영역인 각종 전기적인 신호와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조절된다. 철학사에 있어서 유물론과 관념론의 다툼은 참 오래된 것이지만, 오늘날 우리가 바라보는 세상은 어쨌든 유물론에 훨씬 가까워보이는 것 같다.
 그럼에도 내가 자유의지를 우습게 치부하고 무시하기 힘든게, 이게 나의 직관과 잘 일치하기 때문이다. 내가 지금 손가락을 하나 까딱해보는 것조차 이미 길고 긴 과학법칙을 거쳐 사전에 준비된 행위에 불과하다니 좀 심한 것 아니겠어. 양자역학에서 말하는 확률의 법칙을 보면, 그래도 원자단위로 내려가면 과학도 인간에게 조금은 쉴 틈을 주는 것도 같다. 하지만 여전히 자유의지는 설 자리가 없구나.

 어제 뉴스를 보니 MBC노조를 탈퇴하고 뉴스앵커직으로 복귀한 두 명의 남녀 아나운서들이 신에게 계시를 받고 그리했다고 하던데, 계시나 기적도 참으로 자연과학에 어긋나는 일이긴 하다. 실용적으로 생각해도 계시랑 정신병, 혹은 자기합리화를 어떻게 구별한단 말인가. 중세시대엔 정신착란에 걸린 귀족들 가운데 저런 계시를 운운하는 이들이 많았다고도 하던데.
 뭐, 자연과학이 근본적으로 귀납법과 인과법칙에 근거를 두고 있는 한, (그리고 귀납법과 인과법칙은 증명될 수 없다는 흄의 주장이 깨어지지 않는 한) 계시나 기적도 꼭 없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는 것도 같다. 실속없는 상념에 빠져들 때면 늘 마지막엔 데이비드 흄이 회의주의를 한 손에 들고 웃고 있다.

댓글 없음: